실업급여 하한선·상한선 한눈에! 월 최대 수령액까지 쉽게 확인하기
실업급여 하한선·상한선 한눈에! 월 최대 수령액까지 쉽게 확인하기
퇴사를 앞두고 가장 궁금한 것 중 하나!
"실업급여, 한 달에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내가 받을 수 있는 최대 금액은 얼마일까?"
2025년 기준으로 실업급여 하한액·상한액이 어떻게 바뀌었는지,
월 수령액은 얼마까지 가능한지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
(+ 실제 수령액 계산하는 법까지!)
![]() |
실업급여 |
실업급여, 하루 기준부터 정리해볼게요!
하루 하한선(최소 금액)
64,192원
2025년 최저임금인 10,030원을 기준으로
최저임금 × 80% × 8시간으로 계산됩니다.
하루 상한선(최대 금액)
66,000원
이건 고정된 금액이에요.
2019년 이후 상한액은 변동 없이 동일합니다.
정리하면
실업급여 하루 금액은 최소 64,192원 ~ 최대 66,000원이에요!
![]() |
실업급여 |
그럼 한 달엔 얼마 받을 수 있을까?
월 수령액 계산 (30일 기준)
하한액 기준:
64,192원 × 30일 = 약 1,925,760원
상한액 기준:
66,000원 × 30일 = 약 1,980,000원
즉, 한 달 기준으로
약 192만 원 ~ 198만 원 사이에서 받을 수 있다는 뜻!
![]() |
실업급여 |
실업급여는 며칠 동안 받을 수 있을까?
지급일수는 고용보험 가입기간 + 나이에 따라 다릅니다.
고용보험 가입기간 50세 미만 50세 이상 또는 장애인
1년 미만 120일 120일
1~3년 150일 180일
3~5년 180일 210일
5~10년 210일 240일
10년 이상 240일 270일
예를 들어,
가입 6년차에 52세라면 → 지급일수 240일!
![]() |
실업급여 |
내가 받을 수 있는 실업급여는?
실제로 받을 금액은 이렇게 계산해요!
퇴직 전 3개월 평균임금 → 월 평균임금 계산
월 평균 ÷ 30일 × 60% = 하루 급여 계산액
계산된 하루 금액이 하한보다 낮으면 → 하한액 적용
계산된 하루 금액이 상한보다 높으면 → 상한액 적용
예시로 알아보기
예시 A - 월급 250만 원, 가입 2년, 35세
하루 계산급여 = 약 50,000원
→ 하한액(64,192원) 적용
지급일수 = 150일
총 수령액 ≈ 64,192 × 150 = 9,628,800원
월 평균 수령액 ≈ 약 641,000원
예시 B - 월급 450만 원, 가입 6년, 52세
하루 계산급여 = 약 90,000원
→ 상한액(66,000원) 적용
지급일수 = 240일
총 수령액 = 66,000 × 240 = 15,840,000원
월 평균 수령액 ≈ 660,000원
결론:
고소득자라도 상한선이 있기 때문에 수령액 차이는 크지 않아요!
![]() |
실업급여 |
간단 정리
구분 하루 금액 월 수령액
하한선 기준 64,192원 약 1,925,760원
상한선 기준 66,000원 약 1,980,000원
지급기간은 120일~270일
고용보험 가입기간 & 나이에 따라 다름
꼭 알아두세요!
실업급여는 ‘구직활동’을 해야 받을 수 있어요!
활동 내역 제출은 필수입니다.
중복 수급자는 감액될 수 있어요
3회 이상 수급자는 감액 또는 대기 기간이 생깁니다.
재취업 시 조기 취업 수당 도 받을 수 있으니
꼭 확인해보세요!
마무리 한마디
2025년 실업급여는
하루 64,192~66,000원,
월 192~198만 원 수령 가능!
퇴사를 앞두셨다면,
내 예상 수령액을 미리 계산해보고 계획 세우는 것,
정말 중요해요!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