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휴직급여 못받는다면? 가장 흔한 3가지 공통점과 급여 신청 꿀팁

Image
 육아휴직급여 못받는다면? 가장 흔한 3가지 공통점과 급여 신청 꿀팁 육아휴직은 부모가 일과 육아를 병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중요한 제도입니다. 하지만 막상 신청하려고 하면 “나는 왜 육아휴직급여를 못 받는 걸까?” 하는 고민에 빠지는 분들이 정말 많습니다. 회사에서 육아휴직을 승인받았는데도, 고용보험에서는 지급이 거절되는 경우가 꽤 흔하죠. 오늘은 육아휴직급여를 받지 못하는 사람들의 3가지 공통점과 함께, 꼭 알아야 할 급여 신청 꿀팁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이 글 하나로 불필요한 실수를 줄이고, 급여를 놓치지 않도록 꼼꼼히 챙겨보세요. 1. 고용보험 가입기간 ‘180일 미만’ — 가장 흔한 실수 육아휴직급여를 못 받는 이유 중 가장 많은 사례는 고용보험 가입기간이 180일(6개월) 미만인 경우입니다. 육아휴직급여는 단순히 회사에 근무한 기간이 아니라,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던 기간이 기준입니다. 즉, 회사 근속 1년이라도 고용보험 미가입 상태였다면 급여 대상이 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입사 후 4개월 만에 육아휴직을 신청하면 회사는 휴직을 허가할 수 있어도 고용보험에서는 지급 조건을 충족하지 않아 급여가 나오지 않습니다. 따라서 육아휴직을 계획하고 있다면, 반드시 “고용보험 가입일”을 확인하고 180일이 지난 시점 이후에 신청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고용보험 홈페이지(ei.go.kr)에서 본인 가입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육아휴직급여 2. 육아휴직 종료 후 ‘신청 기한 초과’ — 12개월이 지나면 끝 두 번째 실수는 육아휴직급여 신청 기한을 놓치는 경우입니다. 육아휴직급여는 육아휴직 종료일의 다음 날부터 12개월 이내에 반드시 신청해야 합니다. 이 기간을 넘기면 소급 신청이 불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2024년 6월 30일에 육아휴직이 끝났다면, 2025년 6월 29일까지 신청해야 합니다. 단 하루라도 넘기면 급여를 전혀 받을 수 없죠. 특히 육아와 복직 준비로 바쁜 시기에 “조만간 해야지” 하고 미루다 놓치는 사례가 많습니다. 기한이 지나면 예...

실업급여 하한선·상한선 한눈에! 월 최대 수령액까지 쉽게 확인하기

 실업급여 하한선·상한선 한눈에! 월 최대 수령액까지 쉽게 확인하기


퇴사를 앞두고 가장 궁금한 것 중 하나!

"실업급여, 한 달에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내가 받을 수 있는 최대 금액은 얼마일까?"


2025년 기준으로 실업급여 하한액·상한액이 어떻게 바뀌었는지,

월 수령액은 얼마까지 가능한지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

(+ 실제 수령액 계산하는 법까지!)

실업급여
실업급여


실업급여, 하루 기준부터 정리해볼게요!

하루 하한선(최소 금액)

64,192원

2025년 최저임금인 10,030원을 기준으로

최저임금 × 80% × 8시간으로 계산됩니다.


하루 상한선(최대 금액)

66,000원

이건 고정된 금액이에요.

2019년 이후 상한액은 변동 없이 동일합니다.


정리하면

실업급여 하루 금액은 최소 64,192원 ~ 최대 66,000원이에요!

실업급여
실업급여


그럼 한 달엔 얼마 받을 수 있을까?

월 수령액 계산 (30일 기준)

하한액 기준:

64,192원 × 30일 = 약 1,925,760원


상한액 기준:

66,000원 × 30일 = 약 1,980,000원


즉, 한 달 기준으로

약 192만 원 ~ 198만 원 사이에서 받을 수 있다는 뜻!

실업급여
실업급여


실업급여는 며칠 동안 받을 수 있을까?

지급일수는 고용보험 가입기간 + 나이에 따라 다릅니다.


고용보험 가입기간 50세 미만 50세 이상 또는 장애인

1년 미만 120일 120일

1~3년 150일 180일

3~5년 180일 210일

5~10년 210일 240일

10년 이상 240일 270일


예를 들어,

가입 6년차에 52세라면 → 지급일수 240일!

실업급여
실업급여


내가 받을 수 있는 실업급여는?

실제로 받을 금액은 이렇게 계산해요!


퇴직 전 3개월 평균임금 → 월 평균임금 계산

월 평균 ÷ 30일 × 60% = 하루 급여 계산액

계산된 하루 금액이 하한보다 낮으면 → 하한액 적용

계산된 하루 금액이 상한보다 높으면 → 상한액 적용


예시로 알아보기

예시 A - 월급 250만 원, 가입 2년, 35세

하루 계산급여 = 약 50,000원

→ 하한액(64,192원) 적용


지급일수 = 150일


총 수령액 ≈ 64,192 × 150 = 9,628,800원


월 평균 수령액 ≈ 약 641,000원


예시 B - 월급 450만 원, 가입 6년, 52세

하루 계산급여 = 약 90,000원

→ 상한액(66,000원) 적용


지급일수 = 240일


총 수령액 = 66,000 × 240 = 15,840,000원


월 평균 수령액 ≈ 660,000원


결론:

고소득자라도 상한선이 있기 때문에 수령액 차이는 크지 않아요!

실업급여
실업급여


간단 정리

구분 하루 금액 월 수령액

하한선 기준 64,192원 약 1,925,760원

상한선 기준 66,000원 약 1,980,000원


지급기간은 120일~270일

고용보험 가입기간 & 나이에 따라 다름


꼭 알아두세요!

실업급여는 ‘구직활동’을 해야 받을 수 있어요!

활동 내역 제출은 필수입니다.


중복 수급자는 감액될 수 있어요

3회 이상 수급자는 감액 또는 대기 기간이 생깁니다.


재취업 시  조기 취업 수당 도 받을 수 있으니

꼭 확인해보세요!


마무리 한마디

2025년 실업급여는

하루 64,192~66,000원,

월 192~198만 원 수령 가능!


퇴사를 앞두셨다면,

내 예상 수령액을 미리 계산해보고 계획 세우는 것,

정말 중요해요!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30평대 아파트 현실적인 인테리어 비용-견적과 절약

초등학생 교육 디지털 원패스(에듀패스) 가입하기|학부모 필독 가입 방법 정리

美 관세 우려 완화에 비트코인 9만5000달러 돌파! 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