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Showing posts with the label 실업급여계산

실업급여, 복잡하게 생각 마세요! 조건, 금액, 신청방법 쉽게 알려드려요

Image
 실업급여, 복잡하게 생각 마세요! 조건, 금액, 신청방법 쉽게 알려드려요 예상치 못한 퇴직 상황에서 가장 먼저 떠오르는 제도가 바로 실업급여입니다. 하지만 막상 알아보려고 하면 ‘조건이 까다롭다’, ‘계산이 어렵다’라는 이야기를 많이 듣죠. 사실 실업급여는 기본 구조만 이해하면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오늘은 실업급여의 조건, 금액 계산, 신청방법을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실업급여신청 1. 실업급여란 무엇일까? 실업급여는 고용보험에 가입한 근로자가 비자발적으로 일을 그만두었을 때 일정 기간 동안 생계를 지원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단순한 생활비 보전이 아니라, 구직활동을 독려하고 재취업을 돕는 ‘사회적 안전망’ 역할을 합니다. 즉, 갑작스러운 퇴직에도 최소한의 생활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실업급여신청 2. 실업급여 수급 조건 (2025년 기준)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반드시 충족해야 하는 조건이 있습니다. 퇴사 사유 권고사직, 계약 만료, 회사 폐업 등 비자발적 퇴직이어야 합니다. 자발적 퇴사는 원칙적으로 불가하지만, 임금 체불·폭언·근무환경 악화 같은 정당한 사유가 있다면 예외적으로 인정됩니다. 고용보험 가입기간 퇴사 전 18개월 동안 최소 180일 이상 고용보험에 가입해야 합니다. 근로 능력 및 재취업 의사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고, 구직활동을 할 의지가 있어야 합니다. 구직활동 증빙 고용센터에서 인정하는 구직활동을 정기적으로 증명해야 합니다. 실업급여신청 3. 실업급여 금액 계산법 (2025년 최신) 실업급여는 단순히 “월급 그대로” 받는 것이 아닙니다.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실업급여 = 평균임금 × 60% × 지급일수 평균임금: 퇴직 전 3개월 동안의 총 급여 ÷ 총 일수 1일 하한액: 2만 원 (최저임금의 80%) 1일 상한액: 7만 원 즉, 하루에 받을 수 있는 최대 금액은 7만 원, 최소는 2만 원입니다. 예시 계산 월급 280만 원을 받던 직장...

실업급여 하한선·상한선 한눈에! 월 최대 수령액까지 쉽게 확인하기

Image
 실업급여 하한선·상한선 한눈에! 월 최대 수령액까지 쉽게 확인하기 퇴사를 앞두고 가장 궁금한 것 중 하나! "실업급여, 한 달에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내가 받을 수 있는 최대 금액은 얼마일까?" 2025년 기준으로 실업급여 하한액·상한액이 어떻게 바뀌었는지, 월 수령액은 얼마까지 가능한지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 (+ 실제 수령액 계산하는 법까지!) 실업급여 실업급여, 하루 기준부터 정리해볼게요! 하루 하한선(최소 금액) 64,192원 2025년 최저임금인 10,030원을 기준으로 최저임금 × 80% × 8시간으로 계산됩니다. 하루 상한선(최대 금액) 66,000원 이건 고정된 금액이에요. 2019년 이후 상한액은 변동 없이 동일합니다. 정리하면 실업급여 하루 금액은 최소 64,192원 ~ 최대 66,000원이에요! 실업급여 그럼 한 달엔 얼마 받을 수 있을까? 월 수령액 계산 (30일 기준) 하한액 기준: 64,192원 × 30일 = 약 1,925,760원 상한액 기준: 66,000원 × 30일 = 약 1,980,000원 즉, 한 달 기준으로 약 192만 원 ~ 198만 원 사이에서 받을 수 있다는 뜻! 실업급여 실업급여는 며칠 동안 받을 수 있을까? 지급일수는 고용보험 가입기간 + 나이에 따라 다릅니다. 고용보험 가입기간 50세 미만 50세 이상 또는 장애인 1년 미만 120일 120일 1~3년 150일 180일 3~5년 180일 210일 5~10년 210일 240일 10년 이상 240일 270일 예를 들어, 가입 6년차에 52세라면 → 지급일수 240일! 실업급여 내가 받을 수 있는 실업급여는? 실제로 받을 금액은 이렇게 계산해요! 퇴직 전 3개월 평균임금 → 월 평균임금 계산 월 평균 ÷ 30일 × 60% = 하루 급여 계산액 계산된 하루 금액이 하한보다 낮으면 → 하한액 적용 계산된 하루 금액이 상한보다 높으면 → 상한액 적용 예시로 알아보기 예시 A - 월급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