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부세는 부자세? 재산세와 헷갈리는 세금 쉽게 설명해드립니다
종부세는 부자세? 재산세와 헷갈리는 세금 쉽게 설명해드립니다
“고지서에 세금이 두 개나 찍혀 있는데... 이건 뭐지?”
“집 한 채 가진 나도 종부세 내야 하나요?”
“재산세랑 종합부동산세는 뭐가 다른 건가요?”
집을 갖고 있는 분들이라면
해마다 한 번쯤은 이런 세금 헷갈림을 겪으셨을 거예요.
이름도 비슷한 재산세와 종부세,
그 차이를 정확히 알고 있는 분은 많지 않죠.
오늘은 여러분의 궁금증을 해결해드릴게요!
“종부세는 부자세?”라는 오해부터,
“재산세와의 차이, 기준, 계산법”까지
진짜 쉽게 풀어드리겠습니다
![]() |
주택세금 |
종합부동산세(종부세), 정말 부자세일까?
종부세는 흔히 "부자세"라고 불립니다.
왜냐하면, 집을 많이 갖고 있거나,
공시가격이 높은 고가 주택 보유자만 내는 세금이기 때문이에요.
즉, 누구나 내는 세금은 아니고, 일정 기준 이상이어야 부과되죠.
종부세는 이런 세금입니다:
정식 명칭: 종합부동산세
부과 대상: 고가의 주택을 일정 금액 이상 보유한 사람
담당 기관: 국세청 (국세)
납부 시기: 매년 12월
그래서 보통 고가 부동산 보유자 를 타깃으로 하기 때문에
“부자세”라는 별명이 붙은 거예요.
![]() |
주택세금 |
재산세와 종부세, 어떻게 다를까요?
둘 다 집에 부과되는 세금이라 헷갈릴 수 있지만,
전혀 다른 성격의 세금이에요.
항목 재산세 종부세
목적 모든 소유자 대상 기본 보유세 고가 자산에 대한 추가세
과세 기준 주택·토지·건물 소유 여부 일정 금액 초과 주택 보유 시
납부 시기 매년 7월, 9월 (2회 분할) 매년 12월 (1회 일괄)
세금 성격 지방세 국세
부과 기준액 없음 (무조건 부과) 1주택자: 12억 초과 / 다주택자: 9억 초과
핵심 정리
재산세는 집이 있으면 누구나 낸다!
종부세는 고가 주택 보유자만 낸다!
![]() |
주택세금 |
종부세, 나는 대상일까? 기준은?
2024~2025년 기준으로 보면
종부세 납부 대상은 아래와 같아요.
1세대 1주택자
공시가격 12억 원 초과 시 부과
다주택자 또는 법인
보유 주택 공시가격 합계 9억 원 초과 시 부과
공시가격은 국토교통부에서 고시한 ‘세금용 가격’으로, 실거래가보다 낮습니다.
예) 실거래가 16억짜리 아파트
→ 공시가격 12.5억 원 → 종부세 대상 가능성 높음
![]() |
주택세금 |
재산세는 어떻게 계산될까?
재산세는 모든 집에 부과되는 지방세입니다.
계산 방식
공시가격 × 공정시장가액비율(60%) × 세율
지방교육세, 도시계획세 등 부가세
세율은 0.1~0.4%이며,
다주택자에게는 중과세율(최대 1.2%)이 적용될 수 있어요.
예시:
공시가격 6억 원 1주택자
→ 과세표준 3.6억 원
→ 세율 적용 후 재산세 약 50~80만 원 수준
![]() |
주택세금 |
종부세는 어떻게 계산될까?
종부세는 기준 금액 초과분에 대해서만 과세됩니다.
계산 방식이 조금 복잡하지만, 요약하면 이렇습니다.
계산 흐름
(공시가격 – 기준금액) ×
공정시장가액비율(60%) ×
세율(0.5~2.7%) –
공제 (고령자·장기보유자)
예시:
공시가격 14억 원, 1세대 1주택자
→ 12억 초과분 2억 × 60% = 과세표준 1.2억
→ 세율 적용 후 약 30만~50만 원
(공제 여부에 따라 차이 큼)
![]() |
주택세금 |
재산세 + 종부세, 둘 다 내는 경우는?
네, 충분히 둘 다 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공시가격 14억 원 아파트 1채 보유자
→ 재산세는 무조건 부과
→ 종부세는 12억 초과로 대상 포함
즉, 재산세는 기본, 종부세는 추가세 개념입니다.
오해 없이 이해하는 Tip
종부세는 무조건 부자가 내는 세금이 아님
→ 1주택자라도 공시가가 높으면 납부 대상
재산세는 모든 주택 소유자에게 부과됨
→ 집값과 관계없이 무조건 나옴
기준은 공시가격 기준이지, 실거래가 아님
→ 정부가 발표한 금액을 기준으로 계산
매년 세율·공제 기준 달라질 수 있음
→ 꼭 매년 확인하세요!
마무리 한마디
재산세와 종부세, 이름은 비슷하지만
완전히 다른 세금입니다.
재산세는 집이 있으면 누구나 내는 세금
종부세는 일정 기준 이상 고가 주택에만 추가로 붙는 세금
이제는 고지서 보고도 당황하지 않고,
"이건 재산세고, 이건 종부세니까…"
하고 스스로 구분할 수 있을 거예요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