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과 주휴수당, 놓치면 손해 보는 알바 꿀팁!
최저임금과 주휴수당, 놓치면 손해 보는 알바 꿀팁!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나는 최저임금 잘 받고 있겠지?” 하고 막연히 생각한 적 있나요?
하지만 실제로는 주휴수당을 놓쳐서 월급이 줄어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2025년 기준 최저임금과 주휴수당의 정확한 개념,
그리고 알바생이 반드시 챙겨야 할 꿀팁을 정리해볼게요.
주휴수당계산법 |
1. 2025년 최저임금, 정확히 얼마일까?
2025년 최저임금은 시급 9,860원입니다.
이는 주휴수당이 포함되지 않은 금액이에요.
즉, 주 15시간 이상 일하고 조건을 충족하면 추가 수당(주휴수당)을 받아야
진짜 ‘최저임금 수준’을 맞출 수 있습니다.
2. 주휴수당이란?
주휴수당은 일주일 동안 근무를 성실히 수행한 근로자에게 주어지는
유급 휴일 수당이에요.
쉽게 말해,
“일주일 동안 열심히 일했으니 하루는 쉬면서도 돈을 받는 제도”입니다.
주휴수당계산법 |
3. 주휴수당을 받기 위한 조건
다음 두 가지를 모두 만족해야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① 주 15시간 이상 근무
② 정해진 근무일 모두 출근(개근)
예를 들어,
하루 4시간 × 주 5일 = 20시간 → O 주휴수당 지급 대상
하루 3시간 × 주 3일 = 9시간 → X 지급 대상 아님
주휴수당계산법 |
4. 주휴수당 계산법 (공식)
주휴수당 = 1일 근로시간 × 시급
이 수당은 주급에 추가되어 지급돼야 합니다.
예를 들어,
시급 9,860원
하루 4시간, 주 5일 근무 (20시간)
주휴수당 = 4시간 × 9,860원 = 39,440원
즉, 주급은 9,860원 × 20시간 + 39,440원 = 236,640원
따라서 월 기준으로 보면,
약 15만 원 이상 추가 수입이 생깁니다.
5. 주휴수당 포함 ‘실질 시급’은 얼마일까?
위 예시를 다시 계산해볼까요?
주급: 236,640원
근로시간: 20시간
실질 시급 = 236,640 ÷ 20 = 11,832원
즉, 표면상 최저시급 9,860원을 받더라도
주휴수당을 포함하면 실질 시급은 11,800원대가 됩니다.
이게 바로 주휴수당을 반드시 챙겨야 하는 이유예요.
주휴수당계산법 |
6. 알바 구할 때 꼭 확인해야 할 문구
공고를 보면 이런 문구, 자주 보이죠?
“시급 12,000원 (주휴수당 포함)”
“시급 9,860원 (주휴수당 별도)”
첫 번째는 포함 금액이라 실제 시급은 9,860원 수준일 수 있어요.
두 번째처럼 별도 지급 문구가 있어야
진짜 최저임금 이상을 받는 겁니다.
공고 문구를 꼼꼼히 보고, 헷갈릴 땐 반드시 사장님께 직접 확인하세요.
7. 급여명세서로 확인하기
2021년부터는 모든 사업장이 급여명세서 발급 의무화가 되었어요.
명세서에서
시급
근무시간
주휴수당 항목
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주휴수당이 빠져 있으면, 사업주에게 정중히 문의하고
필요시 고용노동부 1350 상담센터에 신고할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계산법 |
8. 챙겨야 할 알바 꿀팁
근로계약서 작성: 시급, 근무시간, 주휴수당 포함 여부 명시
급여명세서 확인: 누락된 항목 없는지 점검
개근 관리: 결근 시 주휴수당 미지급 주의
근무시간 기록: 근무표·메모로 증거 확보
이 4가지만 지켜도 주휴수당 놓치지 않고, 내 권리 제대로 챙길 수 있습니다.
마무리
주휴수당은 ‘보너스’가 아닌,
법으로 보장된 정당한 급여입니다.
시급만 보고 판단하지 말고,
주휴수당 포함 여부를 꼭 확인하세요.
내가 받은 시급이 진짜 최저임금인지,
실질 시급은 얼마인지 계산해보는 습관이
알바 월급을 지키는 첫걸음입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