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Showing posts with the label 최저임금

최저임금과 주휴수당, 놓치면 손해 보는 알바 꿀팁!

Image
 최저임금과 주휴수당, 놓치면 손해 보는 알바 꿀팁!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나는 최저임금 잘 받고 있겠지?” 하고 막연히 생각한 적 있나요? 하지만 실제로는 주휴수당을 놓쳐서 월급이 줄어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2025년 기준 최저임금과 주휴수당의 정확한 개념, 그리고 알바생이 반드시 챙겨야 할 꿀팁을 정리해볼게요. 주휴수당계산법 1. 2025년 최저임금, 정확히 얼마일까? 2025년 최저임금은 시급 9,860원입니다. 이는 주휴수당이 포함되지 않은 금액이에요. 즉, 주 15시간 이상 일하고 조건을 충족하면 추가 수당(주휴수당)을 받아야 진짜 ‘최저임금 수준’을 맞출 수 있습니다. 2. 주휴수당이란? 주휴수당은 일주일 동안 근무를 성실히 수행한 근로자에게 주어지는 유급 휴일 수당이에요. 쉽게 말해, “일주일 동안 열심히 일했으니 하루는 쉬면서도 돈을 받는 제도”입니다. 주휴수당계산법 3. 주휴수당을 받기 위한 조건 다음 두 가지를 모두 만족해야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① 주 15시간 이상 근무 ② 정해진 근무일 모두 출근(개근) 예를 들어, 하루 4시간 × 주 5일 = 20시간 → O 주휴수당 지급 대상 하루 3시간 × 주 3일 = 9시간 → X 지급 대상 아님 주휴수당계산법 4. 주휴수당 계산법 (공식) 주휴수당 = 1일 근로시간 × 시급 이 수당은 주급에 추가되어 지급돼야 합니다. 예를 들어, 시급 9,860원 하루 4시간, 주 5일 근무 (20시간) 주휴수당 = 4시간 × 9,860원 = 39,440원 즉, 주급은 9,860원 × 20시간 + 39,440원 = 236,640원 따라서 월 기준으로 보면, 약 15만 원 이상 추가 수입이 생깁니다. 5. 주휴수당 포함 ‘실질 시급’은 얼마일까? 위 예시를 다시 계산해볼까요? 주급: 236,640원 근로시간: 20시간 실질 시급 = 236,640 ÷ 20 = 11,832원 즉, 표면상 최저시급 9,860원을 받더라도 주휴수당을 포함하면 실질 시급은 11,800원대가 됩니다. 이게 바로 주휴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