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최저시급과 주휴수당! 알바 급여명세서 똑똑하게 확인하는 방법
2025년 최저시급과 주휴수당! 알바 급여명세서 똑똑하게 확인하는 방법
아르바이트를 하다 보면 가장 헷갈리는 게 바로 최저시급과 주휴수당입니다.
“내 시급이 맞게 계산된 걸까?” “주휴수당이 포함된 금액일까?” 이런 궁금증 다들 한 번쯤 가져보셨을 거예요.
오늘은 2025년 기준 최저시급과 주휴수당 계산법, 그리고 급여명세서 확인 꿀팁까지 정리해드릴게요.
![]() |
주휴수당 |
2025년 최저시급은 얼마일까?
2025년 최저시급은 10,03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작년보다 170원 오른 금액으로, 이를 기준으로 계산하면 다음과 같아요.
일급(8시간 기준) : 80,240원
월급(209시간 기준, 주 40시간 근무) : 2,096,270원
즉, 아르바이트를 하더라도 시급이 10,030원보다 낮다면 불법이니 꼭 체크해야 합니다.
![]() |
주휴수당 |
주휴수당이란? 꼭 챙겨야 하는 권리
주휴수당은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개근한 근로자에게 주어지는 법정 수당이에요.
쉽게 말해, 일주일 열심히 일했으니 하루치 시급을 보너스로 더 드립니다라는 개념이죠.
조건은 단순합니다.
주 15시간 이상 근무
결근 없이 개근
이 두 가지만 만족하면 무조건 받을 수 있어요.
![]() |
주휴수당 |
주휴수당 계산법, 예시로 이해하기
풀타임 알바 (주 40시간 근무)
시급: 10,030원
주휴수당 = 8시간 × 10,030원 = 80,240원
주급 = (40시간 + 8시간) × 10,030원 = 480,720원
월급 = 약 2,096,270원
파트타임 알바 (주 20시간, 4시간×5일)
주휴수당 = (20시간 ÷ 5일) × 10,030원 = 40,120원
주급 = (20시간 + 4시간) × 10,030원 = 240,720원
월급 = 약 1,045,934원
근무시간이 달라도 주휴수당은 반드시 추가 지급된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 |
주휴수당 |
급여명세서, 이렇게 확인하세요
월급날 급여명세서를 받을 때는 꼭 이 부분을 체크하세요.
시급이 10,030원 이상인지
주휴수당이 별도 항목으로 기재되어 있는지
근무시간과 주휴시간 계산이 맞는지
근로계약서와 동일하게 지급되는지
특히 ‘주휴수당 포함 시급’으로 설명하는 경우가 있는데, 법적으로는 반드시 시급 + 주휴수당이 구분되어야 합니다.
마무리: 아르바이트 권리는 스스로 지켜야
주휴수당은 선택이 아니라 법으로 보장된 권리입니다.
한 달 동안 주휴수당을 제대로 받지 못하면 수십만 원이 차이 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꼼꼼히 챙기셔야 해요.
2025년 최저시급 10,030원, 그리고 주휴수당 계산법까지 오늘 알려드린 내용 꼭 기억하시고, 다음 급여명세서 받을 때 바로 확인해보세요.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