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을 위한 증여세 상속세 절세 가이드, 면제 한도와 공제 항목 완벽 분석
가족을 위한 증여세 상속세 절세 가이드, 면제 한도와 공제 항목 완벽 분석
부모님이나 가족으로부터 재산을 물려받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고민, 바로 증여세와 상속세죠.
세금을 몰라서 낭비하는 경우가 의외로 많습니다. 오늘은 면제 한도와 공제 항목을 중심으로, 꼭 알아야 할 절세 팁을 정리해드릴게요.
![]() |
증여세 |
1. 증여세 면제 한도 – 가족 관계별로 다르다
증여세는 10년 단위 누적 합계로 계산됩니다. 즉, 10년마다 새로 면제 한도를 활용할 수 있다는 뜻이에요.
배우자에게 증여: 6억 원까지 비과세
성인 자녀에게 증여: 5천만 원까지 공제
미성년 자녀: 2천만 원까지 공제
손주·직계비속: 5천만 원
기타 친척: 1천만 원
예를 들어, 부모님이 성인 자녀에게 1억 원을 증여하면 5천만 원을 공제받고 나머지 5천만 원에 대해서만 증여세를 내면 되는 거죠.
![]() |
증여세 |
2. 혼인·출산 공제 – 새로운 절세 기회
2024년부터는 혼인·출산 특례가 생겼습니다.
혼인신고 전후 2년 내 증여 시, 기본공제 + 1억 원 추가
출산 전후 2년 내 증여 시, 역시 1억 원 추가
즉, 부모님이 자녀에게 혼인·출산을 계기로 증여한다면 최대 1억 5천만 원까지 증여세 없이 받을 수 있다는 것.
젊은 세대 지원을 위해 새롭게 도입된 만큼, 잘 활용하면 큰 도움이 됩니다.
![]() |
증여세 |
3. 상속세 공제 – A부터 Z까지
상속세는 공제 항목이 많아 헷갈리기 쉬운데요, 크게 기초공제·인적공제·배우자공제·특별공제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기초공제: 상속 재산에서 무조건 2억 원 차감
자녀공제: 자녀 1명당 5천만 원
미성년자공제: 19세까지 남은 연수 × 1천만 원
연로자공제: 65세 이상 상속인 1명당 5천만 원
장애인공제: 기대여명 × 1천만 원
또 하나 중요한 게 일괄공제 5억 원이에요.
‘인적공제 합계’와 ‘일괄공제 5억 원’ 중 더 유리한 쪽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
증여세 |
4. 배우자 상속공제 – 최대 30억 원까지
배우자가 상속인일 경우, 추가로 받을 수 있는 공제가 있습니다.
최소 5억 원, 많게는 30억 원까지 공제 가능하기 때문에 상속 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볼 수 있어요.
5. 가업·영농 상속공제
가업이나 농업에 종사하는 경우라면 특별한 혜택도 있습니다.
가업상속공제: 최대 600억 원
영농상속공제: 최대 30억 원
조건이 까다롭긴 하지만 해당되는 가정에서는 세금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죠.
![]() |
증여세 |
6. 절세 전략 요약
증여는 10년 단위로 분산해 받는 것이 유리합니다.
혼인·출산 시기를 잘 활용하면 추가 공제 1억 원까지 가능.
상속세는 공제 항목을 꼼꼼히 비교해야 손해를 막을 수 있습니다.
배우자 상속공제는 필수 체크, 필요하다면 사전 증여와 상속을 함께 설계하는 것도 방법이에요.
마무리
증여세와 상속세는 법만 잘 이해해도 절세 효과가 큽니다.
특히 공제 한도와 항목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가족 재산을 지키는 데 큰 힘이 됩니다.
앞으로 증여나 상속을 계획하고 있다면, 미리 준비하고 전략적으로 접근하세요. 세금은 피할 수 없지만, 줄일 수는 있습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