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연금, 국민연금과 함께 받을 수 있는 경우는?
기초연금, 국민연금과 함께 받을 수 있는 경우는?
기초연금, 국민연금…
두 단어만 들어도 머리가 아프다는 어르신들이 많습니다
특히 국민연금을 이미 받고 있는 분들은
나는 기초연금 못 받겠지?
국민연금도 나오는데 중복으로 받는 건 불가능한 거 아냐?
이런 걱정을 정말 많이 하세요.
하지만!
기초연금과 국민연금은 함께 받을 수 있습니다.
단, 소득과 재산 기준을 충족해야 가능해요.
오늘은 헷갈리는 이 두 연금의 중복 수급 여부를
실제 사례 중심으로 설명해드릴게요.
우리 부모님, 내가 대상인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 |
기초연금 |
기초연금 + 국민연금, 동시 수급이 가능한 이유?
먼저 두 연금의 성격이 완전히 다릅니다.
연금 성격 지급 기준
국민연금 내가 낸 돈 기반 (보험) 납부 기간·금액에 따라 달라짐
기초연금 정부 지원 복지금 만 65세 이상 + 소득 하위 70%
즉, 기초연금은 국민연금 수령 여부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단지, 국민연금 수령액이 소득으로 환산되기 때문에
그로 인해 기초연금 수급이 감액되거나 제외될 수 있는 것이에요.
![]() |
기초연금 |
사례
국민연금 월 45만 원 받는 70세 김○순 어르신 (1인 가구)
소득: 국민연금 45만 원
재산: 보증금 2천만 원 전세 살이
자녀로부터의 송금 없음
소득인정액 계산 결과 약 50만 원 수준
→ 2025년 기준 소득인정액 기준선(약 202만 원)보다 한참 낮음!
기초연금 전액 수급 가능 (월 403,000원)
총 수령액 = 국민연금 45만 + 기초연금 40만 → 월 85만 원 이상
사례
국민연금 월 70만 원 받는 부부 (두 분 모두 68세)
소득: 각각 국민연금 70만 원씩
재산: 수도권 2억 원 아파트 거주
금융재산: 1억 원 예금
부부 합산 소득인정액 계산 시
국민연금 포함 소득 + 재산 환산액
약 240만 원 수준으로 추정
→ 소득하위 70% 기준 초과
기초연금 수급 불가
※ 소득인정액이 기준보다 높아 수급 탈락
단, 추후 소득 또는 재산 줄어들면 재신청 가능
사례
국민연금 수령 중인 1주택 보유자 (공시가 1.2억 원, 연금 월 65만 원)
나이: 66세, 단독 거주
국민연금 월 65만 원 수령
주택 외 기타 자산 없음
금융재산: 2천만 원
소득인정액: 약 80만~90만 원 수준
→ 기준(202만 원) 이하
기초연금 전액 수급 가능
총 월 소득 = 약 105만 원
→ 생활비에 실질적 큰 도움!
사례
국민연금 월 90만 원 수령 중인 고령 어르신, 재산은 거의 없음
나이: 75세, 단독 거주
소득: 국민연금 90만 원
재산: 거의 없음, 임차 거주
자녀로부터 금전적 지원 없음
소득인정액은 국민연금 90만 원 중심으로 계산
→ 기준(202만 원) 이하
기초연금 일부 감액 → 월 약 25만 원 전후 수령 예상
총 월 소득: 국민연금 90만 + 기초연금 25만 = 약 115만 원
![]() |
기초연금 |
결론: 내 상황도 해당될까?
아래 항목에 3개 이상 해당하면,
기초연금 수급 가능성 높습니다!
만 65세 이상
국민연금 월 80만 원 이하
1주택 또는 전세 살이
금융재산 5천만 원 이하
자녀 지원 없음 or 미미함
혼자 또는 배우자와 거주
해당되면 기초연금 꼭 신청해보세요!
국민연금 있다고 포기하면 손해예요.
기초연금 신청 방법
어디서?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
국민연금공단 지사
1355 (보건복지 상담센터)
언제?
만 65세 생일이 지난 달부터 신청 가능
무엇을?
신분증, 통장 사본, 배우자 정보 등
마무리 요약
국민연금 있어도 기초연금 받을 수 있습니다!
두 연금은 중복 수령 가능하지만,
기초연금은 소득인정액 기준에 따라 감액 또는 제외될 수 있음
사례별로 소득·재산이 기준 이하면 전액 수급도 가능!
한 번 탈락해도, 재산·소득이 줄었다면 재신청 가능
놓쳐서 못 받는 연금, 없도록 하세요.
꼭 해당 여부 체크해보시고, 신청은 빠르게!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