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Showing posts with the label 65세이상

내 부모님 기초연금은? 부부 감액의 숨겨진 이야기

Image
 내 부모님 기초연금은? 부부 감액의 숨겨진 이야기 안녕하세요 :) 오늘은 조금 마음이 묵직한 이야기를 나눠보려고 해요. 바로 ‘기초연금 부부 감액’, 그리고 그 속에 숨겨진 현실 이야기입니다. 여러분 혹시 부모님이 이렇게 말씀하신 적 있지 않나요? “연금 조금씩 들어오긴 하는데… 왜 둘이 받으니까 깎이더라.” “혼자 사는 친구는 더 많이 받는다더라.” “같이 살아서 손해라니, 이런 제도가 어딨냐…” 사실 이 말을 처음 들었을 땐 그냥 ‘그런가 보다’ 했어요. 그런데 직접 기초연금 제도를 알아보고, 계산해보고, 부모님 생활을 살펴보면서 느꼈어요. 기초연금 기초연금, 부모님은 얼마나 받고 계신가요? 2025년 기준 기초연금 최대 금액은 1인당 월 403,000원입니다. 하지만 부부가 동시에 받는 경우엔 각자 10%가 감액돼요. 구분 1인당 수령액 부부 합산 단독 수급자 403,000원 - 부부 수급자 362,700원 725,400원 단순히 수치로 보면 “그래도 둘이 받으면 합쳐서 72만 원 넘잖아?” 싶지만, 실제로는 이 ‘감액’이 생각보다 많은 영향을 줍니다. 기초연금 감액의 진짜 문제는 ‘금액’이 아니라 ‘메시지’ 부모님은 이런 말씀을 하셨어요. “왜 같이 살면 덜 주지? 같이 산다고 돈이 덜 드는 것도 아닌데.” 사실이에요. 65세 넘은 부부는 대부분 같이 늙어가는 사람들입니다. 서로를 돌봐야 하고, 한쪽이 아프면 다른 한쪽은 간병인이 되죠. 병원비는 따로 나오고 약값도 두 배 간단한 반찬도 두 사람이면 금세 떨어져요 기초연금 이 제도, 부모님 세대에게 맞는 걸까요? 기초연금의 부부 감액제도는 2007년부터 이어져온 정책입니다. 당시에는 "부부가 같이 살면 생활비가 절약된다"는 가정이 있었죠. 하지만 지금은? 평균 수명 84세 시대 치매·지병 등 장기 간병의 현실 자녀 세대도 경제적으로 부모 부양이 어려운 구조 예전 기준은 지금의 부모님 세대에는 현실과 동떨어진 측면이 많습니다. 기초연금 부모님이 겪는 불편, 우리가 ...

기초연금 얼마 받을까? 모의계산기로 수급 가능성 체크해보세요

Image
 기초연금 얼마 받을까? 모의계산기로 수급 가능성 체크해보세요 “부모님이 65세 넘으셨는데, 기초연금 받을 수 있을까요?” “집 한 채 있고 예금도 조금 있는데, 탈락 아닐까요?” “받을 수 있다면… 얼마나 나올까요?” 이런 고민, 저도 정말 많이 했었어요. 근데 요즘은 복잡한 계산 안 해도 됩니다! 복지로 홈페이지에 있는 ‘기초연금 모의계산기’로 간단히 몇 가지 정보만 입력하면 수급 가능성 + 예상 수령액까지 딱 나와요. 오늘은 모의계산기 사용법과 함께 기초연금 수급 요건, 받을 수 있는 금액까지 알기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기초연금 기초연금, 누가 받을 수 있나요? 조건 내용 나이 만 65세 이상 (주민등록상 생년월일 기준) 거주 대한민국 국적 + 국내 거주 소득인정액 단독가구: 월 213만 원 이하 부부가구: 월 341.6만 원 이하 (2025년 기준) ※ 소득인정액 = 실제 소득 + 재산을 소득처럼 환산한 금액 예금, 자동차, 부동산 등이 있다면 소득으로 환산해서 계산된다는 점이 핵심이에요! 복지로 모의계산기로 확인하는 방법 접속 방법 복지로 사이트 접속: https://www.bokjiro.go.kr 복지로 상단 메뉴에서 [복지서비스] → [기초연금] → [모의계산] 클릭 입력 항목 (총 4분 정도 소요) 생년월일 가구 구성(단독/부부) 주택 및 금융자산 (시가/예금 등) 매월 받는 소득 (연금, 근로소득 등) 회원가입 없이 누구나 가능! 부모님 대신 본인이 대리 입력해도 돼요 기초연금 모의계산 모의계산 결과, 이렇게 나와요 예시로 입력하면 아래처럼 결과가 나와요: 수급 가능 여부: 수급 가능 예상 소득인정액: 128만 원 수급 예상 금액: 월 401,400원 (단독가구 최대치) 감액 여부: 없음 (기준 이하) 반대로 소득이 많거나 재산이 많다면: 수급 가능 여부: 감액 수급 또는 탈락 가능성 있음 감액 사유: 예금 잔액 과다 등 수급 예상 금액: 월 20만 원~30만 원대 정확하진 않지만 실제 심사와 거의 비슷하게 반영돼요! 재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