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저축계좌2, 누가 받을 수 있을까? 자격 조건 자세히 보기
희망저축계좌2, 누가 받을 수 있을까? 자격 조건 자세히 보기
안녕하세요 :)
오늘은 정부의 자산형성 지원제도 중에서도
저소득 근로자·사업자에게 목돈 마련 기회를 주는 희망저축계좌2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많은 분들이
“나는 대상이 아닐 것 같아요…”
라고 지나치시지만,
실제로는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자격 요건을 충족하고 계십니다.
이번 글을 보시고
내가 해당되는지 꼭 체크해보세요!
![]() |
희망저축계좌 |
희망저축계좌2란?
정부에서 저소득층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본인이 매월 10만 원씩 3년간 저축하면,
정부가 동일한 금액인 월 10만 원을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
총 3년간 720만 원 + 이자 적립
자립역량교육 이수 및 사용계획 확인 후 전액 일시금 지급
희망저축계좌2 자격 조건 정리
희망저축계좌2는
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자 중 생계급여 및 의료급여 수급자가 아닌 분들을 위한 제도입니다.
그 외에도 몇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해요!
소득 요건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가구
2025년 기준 (1인가구 ~ 4인가구 기준):
가구원 수 중위소득 50% 이하 (원)
1인 약 1,070,000원
2인 약 1,796,000원
3인 약 2,310,000원
4인 약 2,824,000원
가구 단위로 판단합니다!
소득에는 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등 포함
![]() |
희망저축계좌 |
재산 기준
가구의 재산이 일정 기준 이하여야 합니다.
지역 재산 기준
대도시 3억 5천만 원 이하
중소도시 2억 원 이하
농어촌 1억 7천만 원 이하
주택, 차량, 예금, 보험, 금융자산 등이 모두 포함됩니다.
(단, 생계형 차량은 일정 한도 내에서 제외)
근로·사업소득 확인
신청인 본인이
매월 일정한 근로 또는 사업소득이 있어야 합니다.
월 10만 원 이상 소득 있는 근로자
일용직, 프리랜서, 자영업자도 가능
무직자는 대상 아님
소득을 입증할 수 있어야 하며,
급여 명세서, 근로계약서, 원천징수영수증, 사업소득 증빙 등이 필요합니다.
수급자 유형 확인
희망저축계좌는
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자 중 ‘주거급여’ 또는 ‘교육급여’ 수급자만 해당됩니다.
생계급여 or 의료급여 수급자는 희망저축계좌2 대상이 아닙니다.
이분들은 희망저축계좌1을 신청하셔야 해요.
![]() |
희망저축계좌 |
정리! 신청 가능 대상 예시
월급 100만 원 정도 받는 알바생 + 부모님과 거주 (1인가구)
매출 적은 자영업자 (근로소득 확인 가능)
주거급여 수급 중인 청년 근로자
프리랜서로 활동 중인 20~30대 사회초년생
맞벌이 부부지만 전체 소득이 중위소득 50% 이하인 경우
이런 경우는 불가해요
무직자, 소득 없는 사람
생계·의료급여 수급자
고소득자 (중위소득 50% 초과)
고액 자산 보유 가구 (예금, 차량 포함 2~3억 초과)
![]() |
희망저축계좌 |
Q&A – 헷갈리는 조건 총정리
Q. 일용직인데 가능할까요?
가능해요!
단, 일정한 월 소득이 있고 근로소득이 증빙돼야 해요.
Q. 프리랜서인데 계약서가 없어요.
매출 입금 내역이나 소득금액증명원, 사업자 등록증 등으로도 증빙 가능해요.
Q. 대학생인데 알바하면서 부모님과 같이 살고 있어요. 신청 가능할까요?
가구 소득 + 가구 재산을 합산해서 보는데,
부모님 소득이 있으면 기준 초과될 수 있어요.
1인가구로 독립 세대일 경우엔 신청 가능할 수도 있어요.
![]() |
희망저축계좌 |
혜택 한눈에 보기
매달 10만 원 저축 시
정부가 동일하게 10만 원 매칭
3년 뒤 총 720만 원 + 이자 지급
단, 자립역량교육 수료 + 사용용도 증빙 필요
마무리하며
희망저축계좌2는 단순한 저축이 아닙니다.
정부가 당신의 자립을 함께 응원하는 제도예요.
조건을 충족하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고,
중간에 포기하지 않고 3년 유지한다면
그 끝엔 꽤 쏠쏠한 목돈이 생깁니다.
주변에 해당될 것 같은 분이 있다면
꼭 이 글 공유해주세요!
몰라서 못 받는 분들이 너무 많습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